★전주 한옥마을의 문화유산★
![](https://t1.daumcdn.net/cfile/blog/1964A6364F29C04819) 풍남문(豊南門)은 옛 전주읍성의 남쪽 문으로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때
파괴된 것을 영조 10년(1734) 성곽과 성문을
다시 지으면서 명견루라 불렀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6A07364F29C04918) ‘풍남문’이라는 이름은 영조 43년(1767) 화재로 불탄 것을
관찰사 홍낙인이 영조 44년(1768) 다시 지으면서 붙인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0352364F29C0490E) 순종 때 도시계획으로 성곽과 성문이 철거되면서 풍남문도 많은
손상을 입었는데 지금 있는 문은 1978년부터
시작된 3년간의 보수공사로 옛 모습을 되찾은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6A12364F29C04A14) 규모는 1층이 앞면 3칸·옆면 3칸, 2층이 앞면 3칸·옆면 1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16023C4F29C3D219) 경기전(慶基殿) 조선 태종 10년(1410)에 완산·계림·평양에
건물을 짓고 태조의 영정을 모신 곳으로 세종 24년(1442)부터 지역마다
이름을 달리 불렀다고 한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31C203C4F29C3D317) 홍살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151F113C4F29C3D316) 외삼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160144344F29C3D417) 내삼문
![](https://t1.daumcdn.net/cfile/blog/14022E344F29C3D518) 경기전 정전
![](https://t1.daumcdn.net/cfile/blog/1278CD344F29C3D51A)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8B1344F29C3D619) 지금 이곳에 모신 태조의 영정(초상화)은
세종 24년(1442)에 그린 것을 고종 9년(1872)에 고쳐 그린 것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0F0A344F29C3D615) 정전은 선조 31년(1598) 정유재란 때 불에
타버린 것을 광해군 6년(1614)에 고쳐 지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7400344F29C3D71A) 전주사고 출입문과 왕대나무
![](https://t1.daumcdn.net/cfile/blog/157C99344F29C3D718) 전주사고(全洲史庫)
![](https://t1.daumcdn.net/cfile/blog/130A07344F29C3D815) 조경묘(肇慶廟) - 태조 이성계의 시조인 이한과
그의 부인 경주김씨의 신주를 모셔놓은 사당
![](https://t1.daumcdn.net/cfile/blog/131D79344F29C3D812)
![](https://t1.daumcdn.net/cfile/blog/18717C344F29C3D91C) 조경묘 부속 건물
![](https://t1.daumcdn.net/cfile/blog/1375FC344F29C3DA1A)
![](https://t1.daumcdn.net/cfile/blog/167241344F29C3DA1C)
![](https://t1.daumcdn.net/cfile/blog/191C32444F29E84520) 예종대왕 태실비
![](https://t1.daumcdn.net/cfile/blog/205C39364F29C3DC1A) 건물 구성은 중심 건물과 부속 건물, 문으로 나뉘어 있으며
제사기능을 가진 건축물의 특성을 잘 따르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20654D364F29C3DC18) 수복청(守僕廳) - 경기전의 제사를 맡은 관리들이 머무르는 곳
![](https://t1.daumcdn.net/cfile/blog/160495364F29C3DD10) 경덕헌(慶德軒) - 경기전의 수문장이 머무르는 곳
![](https://t1.daumcdn.net/cfile/blog/205BBD364F29C3DD1E) 서제(西齋)와 동제(東齋) -
제사를 지내는 집으로 제각(齋閣)이라고도 함.
![](https://t1.daumcdn.net/cfile/blog/18725E364F29C3DE14) 어정(御井)
![](https://t1.daumcdn.net/cfile/blog/1567D6364F29C3DE17) 임금이 참여하는 제례에 사용하는 우물
![](https://t1.daumcdn.net/cfile/blog/20729B364F29C3DF14) 마청(馬廳) - 의식에 참례하기 위해
내려온 관리들의 말을 매어 두는 곳
![](https://t1.daumcdn.net/cfile/blog/115891364F29C3DF1B) 누상고(樓上庫) - 제기를 보관하는 창고
![](https://t1.daumcdn.net/cfile/blog/201C1D3C4F29C3E017) 용실(容室) - 제수용 음식을 만드는 방앗간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https://t1.daumcdn.net/cfile/blog/111BF03C4F29C3D217) 경기전 입구의 하마비(下馬碑)
![](https://t1.daumcdn.net/cfile/blog/201F183C4F29C3E016) 오목대(梧木臺)는 태조 이성계가 황산에서 왜구를 토벌하고
귀경하는 길에 승전을 자축하는 연회를 열었던 곳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21AD3C4F29C3E115)
![](https://t1.daumcdn.net/cfile/blog/121B553C4F29C3E219) 오목대
![](https://t1.daumcdn.net/cfile/blog/162BD23C4F29C3E210) 고종이 친필로 쓴 '태조고황제주필유지' 라고
새겨진 비가 있는 비각과 오목대
![](https://t1.daumcdn.net/cfile/blog/151B213C4F29C3E318) 오목대에서 내려다 본 전주 한옥마을
![](https://t1.daumcdn.net/cfile/blog/181B243C4F29C3E318) 전주향교 고려시대에 처음 지어졌다고 전해진다.
임진왜란 이후 관찰사 장만에 의해 현재의 자리로 옮겨졌다.
대성전은 1653년과 1907년에, 명륜당은 1904년에 중수되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16A8E364F29C3E416) 내삼문(內三門)인 일월문(日月門)
![](https://t1.daumcdn.net/cfile/blog/1961BE364F29C3E519) 공자를 위시하여 4대 성인,
10명의
철학자와 송나라 육현을 봉안하고 있는 대성전(大成殿)
![](https://t1.daumcdn.net/cfile/blog/2050DD364F29C3E51E) 서무
![](https://t1.daumcdn.net/cfile/blog/206CF2364F29C3E616) 동무
![](https://t1.daumcdn.net/cfile/blog/1872DD364F29C3E614)
![](https://t1.daumcdn.net/cfile/blog/1259B6364F29C3E71B) 유학을 가르치던 명륜당(明倫堂)....
독특한 건축미를 보이고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67D10364F29C3E712)
![](https://t1.daumcdn.net/cfile/blog/1422683A4F29C3E81B) 서제
![](https://t1.daumcdn.net/cfile/blog/1420693A4F29C3E81C) 동제
![](https://t1.daumcdn.net/cfile/blog/1625C43A4F29C3E91A) 서제
![](https://t1.daumcdn.net/cfile/blog/1339733A4F29C3EA14) 공자, 맹자, 증자, 안자를 모신 계성사(啓星祠)
![](https://t1.daumcdn.net/cfile/blog/1820643A4F29C3EA1C) 한벽당(寒碧堂) - 조선의 개국을 도운 공신이며
집현전 직제학을 지낸 월당 최담 선생이 태조 8년(1404)에
별장으로 세운 건물이다.
![](https://t1.daumcdn.net/cfile/blog/18229C3A4F29C3EB1B)
![](https://t1.daumcdn.net/cfile/blog/1965FE364F29C3EB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