知 * 好 * 樂

[스크랩] 중국역사 요약 No.1: 연대표(年代表)와 주요내용... (`13.3.16 토)

餘香堂 2014. 9. 1. 15:12

          중국역사 요약해 알아보기 No.1

 - 연대표(年代表):'건국신화'에서 '중화인민공화국'까지 -

 

◆ 중국(中國)의 건국신화(神話)...

1. 선사(先史)시대: 문자(文字)로 역사가 기록되기 이전의 시기.

. 구석기시대: '란톈원인(藍田猿人), 베이징원인(北京原人)' 등의 인류화석

                  발견 됨.

. 신석기시대: BC 6,000년경 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

* '세계 4대문명'으로 꼽히는 '황하(黃河) 및 장강(長江:양쯔강)문명' 태동 

 

2. 신화(神話)와 삼황오제(三皇五帝):

. 중국의 역사는 무한능력을 가진 '반고(盤古)'라는 남신(男神)이 세상을

  연(天地創造) 이래 '삼황오제'에서 부터 시작됨.

. '삼황오제'는 전설 속의 제왕(帝王)으로 중국의 역사가 이들로 부터

  시작되었다는 설화(說話)로 만들어진 인물.

* 우리나라의 '단군왕검'신화(설화) 같은 것...

* 삼황(三皇):

. 복희씨(伏羲氏)/천황(天皇): 뱀의 몸둥아리에 사람 머리 형상을 함.  

. 신농씨(神農氏)/지황(地皇): 염제(炎帝), 사람몸에 소의 머리 형상을 함 

. 여와씨(女와氏): '복희씨'의 누이이며 아내로 인류를 만든 여신(女神).

※ '여와씨' 대신 '황제(黃帝)/인황(人皇)'을 '삼황(三皇)으로 꼽는 견해도

    있음.

* 오제(五帝):

. '황제(黃帝)'의 뒤를 이은 다섯 자손이 세상을 다스림.

. '인황(人皇)'인 '황제헌원(黃帝軒轅)'의 뒤를 잇는 오제(五帝).

-. 소호(少昊): '황제(黃帝)'가 용(龍)을 타고 승천한 후 그 뒤를 이음.

-. 전욱고양(高陽)

-. 제곡고신(高辛)

-. 방훈(도당씨)/당요(唐堯): 요(堯)임금

-. 중화(유우씨)/우순(虞舜): 순(舜)임금

* '요·순(堯·舜)임금 시대'는 덕치(德治)로 태평성세(泰平盛世)를 누려

  후세에 '치세(治世)'의 모범이 됨. 

 

◆ 중국의 고대국가(古代國家)...

3. 하(夏)나라: BC 21세기~BC 17세기(BC 2070?~BC 1600?년)

. 중국의 건국신화인 '삼황오제'의 '요순(堯舜)시대' 가 끝나고,

  '순(舜)황제' 뒤를 이은 '우(虞)황제'가 '하(夏)나라'를 세움.

'하(夏)나라'까지는 문자로 된 기록이 없는 전설 속의 중국역사임.

 

4. 은(殷)/상(商)나라: BC17세기~BC11세기 중반(BC1600?~BC1046년)

. 원래 수도(首都)의 이름을 따서 '상(商)나라'로 부르며 신화(神話)로 간주

  했으나 '은허(殷墟)의 유적' 발굴로 수도가 '은(殷)'으로 옮겨졌음을 

  확인하고 중국역사에 실재(實在)한 최고(最古)의 왕조국가로 인정됨.

. '허난(河南)성'지역에서 소뼈(牛骨)와 거북의 등딱지 등에 새겨진 당시의

   '갑골(甲骨)문자'발견 됨.

. '은(殷)나라'는 '탕왕(湯王)'이 세우고, 요녀(妖女) '달기(Daji)'와 방탕한

  생활에 빠진 '주왕(紂王)' 때 멸망함. 

 

 

5. 주(周)나라: BC 1046~BC 256년

. '은(殷)나라'의 서쪽지방에 위치한 '제후국(諸侯國)' 문왕(文王)'의 아들

  '무왕(武 王)'이 군사를 일으켜 은(殷)나라 주왕(紂王)'을 치고 세운 나라.

* 서주(西周): BC 1046~BC 771년/도읍:'호경(鎬京)', 지금의 西安 부근

* 동주(東周): BC 771~BC 256년/도읍:'낙읍(洛邑)', 지금의 '뤄양(洛陽)' 

 

* '진(晉)나라: '주(周)나라' 때 제후국 중의 하나로 BC 1106~BC 376년까지 

    '펀수이(汾水)강'유역을 중심으로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으나 '춘추시대'

    말기 '한(韓), 위(衛), 조(趙)나라' 로 삼분(三分)되어 멸망함

 -. 남북조시대 '남조'의 마지막 왕조 이름도 '진(晉)나라'임.

  * '송(宋)나라: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은(殷)나라 주왕(紂王)'의

    서형(庶兄) '미자계(微子啓)'에게 '은나라 유민(遺民)'을 다스리게 하기 위해

    제후국으로 세운 나라.

 -. '남북조시대' '동진(東晉)'의 '유유(劉裕)'가 세운나라 '남조(南朝)'의

    '송(宋)나라'도 있으며, '오대십국'시기 이후 AD 960년 '조광윤(趙匡胤)'이

    세운 '송(宋)나라''조송(趙宋)'이라 구분하여 부르기도 함. 

 

6. 춘추(春秋)/전국(戰國)시대: BC 770~BC 221년

* 춘추(春秋)시대: BC 770~BC 403년

. '춘추(春秋)': '공자(孔子)'가 편찬한 '노(魯)나라'의 역사서(歷史書). 

. 춘추오패(春秋五覇): '동주(東周)'왕조 보다 더 세력이 강력했던 5개의

                             제후국(諸侯國)과 그 나라의 왕을 이르는 말.

. 춘추오패: 제(齊), 진(晉), 초(楚), 오(吳), 월(越)  

                             공자(孔子): BC 551~BC 479년

 

* '전국(戰國)시대: BC 403~BC221년

. 전국칠웅(戰國七雄): 제(齊), 연(燕), 진(秦), 초(楚), 한(漢), 위(魏), 조(趙) 

 

◆ 제국(帝國)을 이룬 시대...

7. 진(秦 Qin)나라: BC 221~BC 206년(3황제 15년간 존속)

. '전국(戰國)시대'를 종식하고 중국 최초로 중원(中原)통일왕조를 이루어

  황제(皇帝)의 나라인 제국(帝國)을 세움.

. BC 771년 '주(周)나라'의 산시(陝西)성지역 제후국(諸侯國)으로 봉해진 

  '진백작국(秦伯爵國)'그 모태(母胎)임.

. 통일 '진(秦)제국'을 이룬 '진시황(秦始皇)/이름:영정'은 BC 247년

  전국(戰國)시대 '진(秦)나라' 왕으로 즉위하여 주변 6개 나라를 차례로

  정복하고 39살이 되던 BC 221년 '제나라' 정벌을 끝으로 천하통일을

  이루어 '진(秦)제국'을 세움.

-. 멸망년도: 漢(BC 230년), 趙(BC 228년), 魏(BC 225년),

                 楚(BC 223년), 燕(BC 222년), 齊(BC 221년)

. '진제국'은 BC 210년 '진시황'이 죽은 후 4년 동안 조정의 권력다툼과

  연이은 농민반란으로 혼란에 빠졌고, BC 206년 '유방(劉邦)'이 수도

  '함양(咸陽: 지금의 西安근교)'을 함락하고 입성함으로 멸망하게 됨.

-. 반란의주동세력인 '초(楚)나라의 항우(項羽)'와 '한(漢)나라의

   유방(劉邦)'은 18개 제후국으로 갈라져 있던 중원(中原)의 패권을 잡기 

   위해 전쟁을 벌임. 

   '항우'가 자결한 '해하(垓下)전투'가 마지막 결전임. 

* '진시황'은 자신이 천하를 통일한 첫황제라 하여 '시황(始皇)'이라 

   했으며, BC 247년 '진(秦)나라' 왕위에 오른 후 BC 221년 중원대륙에

   '통일제국(帝國)'을 이루고, BC 210년 죽을 때까지 무려 37년간이나

   절대 권력자의 위치에 있었음.

   오늘날 세계인들이 불가사의(不可思議)하게 여기는 '시안(西安)'의

   '병마용(兵馬俑)'이나 아직도 발굴되지 않고 있는 미스테리의 '진시황

   무덤(陵)'은 결코 하루 아침에 만들어진 것이 아님. 

* 현재 중국(中國)의 유럽식 이름 'China''秦 Qin'의 발음이 변형되어

   만들어 진 것임.     

 

* '오초칠국(吳楚七國)의 난(亂)': BC 154년, '경제(景帝)'때 '제후국'

   왕들의 죄를 폭로하며 영지(領地)를 줄이려 하자 '오왕(吳王)'이 다른

   제후왕들과 공모하여 황제의 측근인 '조조(晁錯)'의 억압정책 탓이라며

   '조조'를 제거한다는 구실로 군사를 일으킴. 

8. 한(漢)나라: BC 202~AD 220년(유비의 '촉한'을 포함하여 264년)

. '진(秦)제국' 이후에 다시 중원(中原)대륙을 통일하여 약 400년간

  존속한 왕조.

. 중국 역사상 가장 강성했던 시기중의 하나로 지금의 '한족(漢族)'이란

  민족 이름, 중국문자인 '한자(漢字)'란 말이 '한(漢)나라'에서 유래함.  

* 전한(前漢)/서한(西漢): BC 202~AD 9년(15황제 211년간 존속)

                                수도: '장안(長安)', 지금의 '시안(西安)'

 . '한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건국함.

 . '해하(垓下)전투(AD 202년): '초한(楚漢)시대'말 초나라의 '항우'와

   '한나라'의 '유방, 한신장군'이 '안후이(安徽)성 오강(烏江)'부근에서 벌인

    마지막 결전, 이 전투에서 승리한 '유방'이 신하들의 추대를 받아 황제로

    즉위하게 됨.

* 신(新)나라: AD 8~25년, '전한(前漢)'의 섭정(攝政) 재상(宰相)이었던

                  외척(外戚) '왕망(王莽)'황위(皇位)를 찬탈하여 세운 나라.

* 후한(後漢)/동한(東漢): AD 25~220년(14황제 195년간 존속)

                   수도: '뤄양(洛陽)', 수도를 동쪽으로 옮겨 '동한'이라 함.

. '광무제(光武帝)' 재위기간 부터 '한나라' 멸망시까지를 '동한', 또는

  '후한'이라고 함.

. '후한(後漢)은 '세조(世祖) 광무제(光武帝) 유수(劉秀)'가 재건한 '한나라'.

. AD 220년 '위왕(魏王) 조비(曹丕)'가 '후한 헌제'의 황위를 빼앗음으로 

  '한나라'는 멸망하게 됨.

 

* '관도(官渡)대전': '후한' 말 삼국시기 현재의 '허난(河南)성 중무현'

   근처인 '관도'지역에서 '조조(曹操)'와 '원소(袁紹)'가 벌인 전투. 

※ '후한'말 역사에 자주 등장하는 이름들...

    '동탁(董卓)', '여포(呂布)', '왕윤(王允)'과 '초선(貂蟬)',

    '원술(袁術)', '원소(袁紹)', '조비(曹丕)'... 

 

◆ '삼국(三國)시대'와 그 이후...

9. '삼국(三國)'시대: AD 220~280년

. '위(魏)나라'가 세워진 AD 220년 부터 '오(吳)나라'가 '진(晉)나라'에

  멸망한 AD 280년까지의 시기.

* 위(魏)나라: AD 220~265년(5황제): 조조(曹操), 초대황제 '조비(曹丕)' 

* 촉한(蜀漢): AD 221~264년(2황제): 초대 '소열(昭烈)황제 유비(劉備)'

* 오(吳)나라: AD 220~280년(4황제): 초대 '대황제(大皇帝) 손권(孫權)' 

 

10. 진(晉)나라: AD 265~420년

* 서진(西晉): AD 265~317년/수도:뤄양(洛陽)

-. AD 280년 '오(吳)나라'를 끝으로 삼국을 평정하고 통일을 이룸

* 동진(東晉): AD 317~420년/수도:건강(建康), 지금의 '난징(南京)'

-. 후에 '남조(南朝)'의 '송(宋), 제(齊), 양(梁), 진(陳)'으로 이어짐.

★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시대: AD 304~439년, 화북(華北)지역에 난립.

  . '진(晉)'말기 부터 '북위(北魏)'가 '화북(華北)'을 통일 할 때까지

    흥망(興亡)했던 '오호(五胡)'와 '한족(漢族)'이 세운 16개 나라.

 

11. '위(魏) 진(晉)/남북조(南北朝)'시대: AD 220~589년

. AD 220년 '후한(後漢)'이 멸망하고 '수(隋)나라'가 AD 589년

  다시 중원(中原)을 통일 할 때까지의 약 370년간의 시기. 

* '위·진시대': AD 220~420년

 . 삼국시대 '위(魏)나라:AD 220~265년'때부터 '서진(西晉)'을 거쳐

   '동진(東晉)' 말(AD 420년)까지 약 200년의 시기.

* '남북조시대': AD 420~589년

 . '진(晉)나라'와 '수(隋)나라'의 중간시기에 해당함.

 . 한족(漢族)이 세운 '남조(南朝)'와 북방유목민이 세운 '북조(北朝)'가

   대립하다가 '수(隋)나라'가 통일을 이룰 때까지의 시기

* 남조(南朝):

. '송(宋), 제(齊), 량(梁), 진(陳)'으로 교체하며 이어진 '한족(漢族)의 4왕조.

. AD 589년 '진(陳)'이 '수(隋)나라 문제(文帝) 양견(楊堅)'에게 멸망함으로

  막을 내림

* 북조(北朝):

. '북조'는 '선비족(鮮卑族)'인 '탁발(拓跋)씨'가 세운 나라임.

. '오호십육국(五胡十六國)'의 혼란을 수습한 '북위(北魏) 태무제(太武帝)'

  때부터 '북주(北周)'의 외척인 '양견(楊堅)'이 '수(隋)나라'를 세워 '남조'

  최후의 왕조인 '진(陳)'을 멸망시키고 중원(中原)을 통일함.

. '북위'는 '동위(東魏)'와 '서위(西魏)'로 분열하고, '동위'는 '북제(北齊)'로

  '서위'는 '북주(北周)'로 교체되었다가 '북주'가 '북제'를 멸망시킴으로 

  한때 화북(華北)지역을 통일하였으나 '북주'의 '양견'이 '수나라'를 세움. 

  

12. 수(隋)나라: AD 581~618년

. 수도: 대흥성(大興城)/동도(東都), 지금의 '시안(西安),옛날 장안(長安)'

. AD 581년 '북주(北周)'의 '정제(靜帝)'가 '대승상(大丞相)'인

  수국공(隋國公) '양견(楊堅)'에게 제위(帝位)를 물려주자 국호를 '수(隋)'로

  바꾸고 황제에 즉위함.

* '양견(楊堅)'은 한족(漢族)이 아니고 '선비족(鮮卑族)'이란 논란이 있음.

. '남북조시대'의 혼란을 평정하고 '서진(西晉)'이 멸망한 후 약 300년 동안

  분열되었던 중원(中原)을 AD 589년에 다시 통일하였으나 38년만에

  멸망함.

 

13. 당(唐)나라: AD 618~907년

. '정관(貞觀)의 치(治): AD 627~649년까지 '당나라' 제2대 황제인

  '태종(太宗) 이세민(李世民)'의 치세(治世)를 일컫는 말로 중국 역사상

  가장 번영했던 시기중의 하나임.

-. '율령(律令)체제': '당나라' 통치의 기본이 되는 행정법

    토지제도(균전제), 조세제도(조요조), 군사제도(부병조)

* '무주(武周)': AD 690~705년까지 15년간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수도를

  '뤄양(洛陽)'으로 옮겨 국호를 '대주(大周)'라 하며 '무측천(武則天)'황제

  '당나라'를 다스리던 시기, '무주(武周)의 치(治)' 라고도 함.

. '개원(開元)의 치(治)': '측천무후(則天武后)의 손자인 '당현종(唐玄宗)'이

  통치했던 AD 713~741년까지 약 28년간의 태평성대를 이르는 말.  

. '안록산(安祿山)의 난(亂)': AD 755~763년, 양귀비(楊貴妃)의 총애를

  받던 '안록산'장군이 현종(玄宗) 말기 '사사명(史思明)'과 공모하여 일으킨

  반란.

. '황소(黃巢)의 난(亂)': AD 875~884년

-. AD 875년 산둥(山東)지방에서 '왕선지(王仙芝)', '황소(黃巢)'가 주동이

   되어 일으킨 농민반란으로 '당나라'가 붕괴되는 근본적 계기가 됨.

-. 원래 '황소'의 부하이던 '주전충(朱全忠)'이 '당나라' 조정에 투항하여 

    '반란'을 진압했다는 공(功)으로 카이펑(開封)지역을 다스리는 '절도사'

    '양왕(梁王)'에 봉해졌고, 뒤에 '후량(後梁)'을 세움.

 

 14. '오대십국(五代十國)'시대: AD 907~960년

. '당나라'가 멸망한 때부터 '송(宋)나라'가 중원(中原)통일을 이룰 때까지

  흥망(興亡)한 '한족(漢族)'의 5개 정통왕조 및 그외 10개 나라와 그 시기.

* 오대(五代): 화북(華北)의 중심지역을 지배하던 정통왕조계열 국가

1. 후량(後梁)/대량(大梁): AD 907~923년(3대 16년간 존속)

 . '오대십국'의 첫번째 왕조, '당나라'말 혼란한 조정을 장악한 군벌(軍閥)

   '주전충(朱全忠)'이 '카이펑(開封)'을 수도로 세운 나라.

2. 후당(後唐)/대당(大唐): AD 923~936년(4대 13년간 존속)

 . '이존욱(李存勖)'이 '후량'을 멸망시키고 '뤄양(洛陽)'을 수도로 세운

   5대의 두번째 왕조.

3. 후진(後晉): AD 936~947년

4. 후한(後漢):   "  947~950년

5. 후주(後周):   "  951~960년 

* 십국(十國): '화남(華南)'과 기타 주변지방에서 흥망(興亡)한 지방 정권

. 1.북한(北漢), 2.오(吳), 3.남당(南唐), 4.오월(吳越), 5.초(楚),

  6.남한(南漢), 7.민(門안蟲자), 8.전촉(前蜀), 9.후촉(後蜀), 10.형남(荊南) 

 '후주(後周):AD 951~960년'에서 '송(宋)나라'로... 

. '오대(五代)'의 마지막 왕조인 '후주(後周)'는 '후한'의 개국공신이며

  실력자인 '곽위(郭威)'가 세웠으나 3대 황제에 이르러 7살짜리 어린

  '공황제(恭皇帝) 곽종훈(郭宗訓)'이 황위(皇位)를 계승하게 되니

  불안을 느낀 군부(軍府)에서 근위군대장인 '전전도점검(殿前都点檢)' 

  '조광윤(趙匡胤)'을 황제로 옹립하자 황위를 선양하고 물러남. 

 

* '요(遙)나라': AD 916~1125년 / '거란(契丹)족'의 '아율아보기'가

                    세운 나라. 

 

15. 송(宋)나라: AD 960~1279년

. AD 960년 '오대(五代)'의 최후 왕조인 '후주(後周)'의 근위병대장이던

  '조광윤(趙匡胤)'이 군부의 추대를 받아 황위(皇位)를 선양 받은 뒤 

  '카이평(開封)'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송(宋)'으로 바꿈.

  '춘추시대'의 '송(宋)', '남북조시대'의 '송(宋)'과 구별하기 위해

  '조송(趙宋)'이라고도 부름.  

* 북송(北宋): AD 960~1127년(9황제 재위:'조광윤'~흠종(欽宗)'趙桓') 

. 수도: 변경, 카이펑(開封)

. '정강(靖康)의 변(變)': AD1126년 11월, '여진족 금(金)나라' 군대가 수도

  '카이펑(開封)'을 함락하고, '흠종(欽宗), 휘종(徽宗)'을 비롯해 황족(皇族),

  대신 등 수천명을 포로로 잡아 만주로 끌고간 정변(政變)으로 멸망함.  

* 남송(南宋): AD 1127~1279년(9황제 재위:'조구(趙構)'~少皇帝'趙昺') 

. 수도: 임안(臨安) 지금의 항저우(杭州)

. '정강의 변'으로 '송(宋)왕조'가 무너지자 '휘종'의 9번째 아들이자

  '흠종'의 동생인 '조구(趙構)'가 강남(江南)으로 내려와 '임안(臨安)'에

  도읍을 정하고 '남송(南宋)'을 세움.

. AD 1279년 '몽골족 원(元)나라'와 최후의 결전을 벌인 남중국해의 섬

        '애산(厓山)전투' 패배로 멸망함.

. 중국 역사상 애국영웅으로 칭송 받는 주전파(主戰波) 장수 '악비(岳飛)'가

  활동하였음.

 

* '서하(西夏)': AD 1038~1227년

-. 티베트계 '탕구트족'이 세운 나라, '칭기즈칸'의 몽골군에 멸망함.

* '금(金)나라': AD 1115~1234년

-. '여진(女眞)족' '완안 아골타(阿骨打)'가 세운 나라.

-. '말갈족' → '여진족' → '만주족(滿州族)'으로 이름이 바뀌어 옴.

 

16. 원(元)나라: AD 1271~1368년(12황제 97년간 존속)

. '한족(漢族)'의 '송(宋)나라'를 멸망시킨 이민족(異民族)의 정복왕조.

-. 유목국가로는 AD 1271~1635년까지 존속.

-. 중국대륙을 점령한 국가로는 AD 1271~1368년까지 존속.

. 유목(遊牧)민족인 '몽골족' '칭기즈칸'의 손자 5대 칸(汗) '쿠빌라이'가

  AD 1971년 국호를 '대원(大元)'이라 고치고 '한족(漢族)'의 땅인

  중원(中原)을 점령하고 세운 나라.

. AD 1279년 수도(首都)를 몽골고원의 '카라코룸'에서 지금의

  베이징(北京)인 '대도(大都:옌징燕京)'로 옮겨 옴.

* '기황후(奇皇后)': '고려 여인'으로 '원(元)나라' 마지막 황제인

   '순제(順帝:토곤 티무르)의 제1황후가 되었고, 아들 '아이유시리다라'는

   북원(北元)의 '소종(昭宗)황제가 됨.  

 

17. 명(明)나라: AD 1368~1644년(16황제, 277년간 존속)

. AD 1368년 강남(江南)'일대에서 일어난 '홍건적(紅巾賊)' 출신인

  '주원장(朱元璋)'이 처음 '남경(南京)'에 도읍을 정하고 몽골족

  '원(元)나라'를 북쪽으로 몰아내고 세운 '한족(漢族)'의 통일왕조.

. 제3대 황제 '영락제(永樂帝)' 때 지금의 베이징(北京)으로 천도(遷都)함.

. 제16대 황제 '숭정제(崇禎帝)' 때 '만주족의 청(淸)나라'에 멸망함.

* '남명(南明)': AD 1644~1662년(4황제, 18년간 존속)

 

18. 청(淸)나라: AD 1636~1912년('후금(後金)'포함시:AD 1616년~ )

. '후금(後金)'왕조인 AD 1616년 부터로 297년간 존속, 12대 황제 재위. 

. '만주(滿州)족'인 '후금(後金)' 마지막 '칸(汗):황제' '누르하치'의 아들

  '홍타이지(皇太極)'가 '한족(漢族)의 명(明)나라'를 정복하고 세운 나라.

. 국호(國號)개칭: AD 1636년 '후금(後金)'에서 '대청(大淸)'으로 바꿈.

. 수도(首都): 흥경(興京:지금의 沈陽) AD 1636~1644년

                  베이징(北京) 1644~1912년

. '오배의 난': AD 1669년

. '삼번(三蕃)의 난': AD 1674~1683년, '오삼계(吳三桂)' 등 3명의

                          번왕(蕃王)세력이 일으킨 반란.

. AD 1683년 '타이완(台灣)'을 점령하고 저항하던 '명(明)나라'의 마지막

  유신(遺臣) '정성공(鄭成功)'세력을 진압하고 실질적인 중국통일을 이룸. 

. '네르친스크'조약: AD 1689년 '러시아'의 동진,남하를 저지하기 위한 것.

. '백두산 정계비(定界碑)'를 세움: AD1712년

. '건륭제(建隆帝):AD 1735~1795년' 때 '내몽골, 신장 위구르, 티베트'를

  복속시켜 중국 역대 왕조 중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함.

. '명(明)나라' 때 6천여명이던 인구가 3억 8천여명으로 급격히 증가함.

. '백련교(白蓮敎)의 난': AD 1796~1804년

. '천리(天理)의 난': AD 1813년

. '아편전쟁': AD 1840~1842년

. '난징(南京)조약': AD 1842년, '홍콩'이 99년간 영국의 조차지(租借地)가

                         되고 '상하이(上海)' 등 5개 항구가 강제 개항(開港) 됨.

. '태평천국운동': AD 1851~1864년, '홍수전(洪秀全)'을 중심으로전개된

                       기독교적 성격을 띈 사회운동.

. '제2차 아편전쟁': AD 1856~1860년

. '베이징조약': AD 1860년, '아편전쟁'시 도움을 준 '러시아'에게 동부지역

                    '연해주(沿海州)'땅을 할양(割讓)함. 

. '양무(洋務)운동': AD 1868년 부터 '증국번(曾國蕃)', '이홍장(李鴻章)'이

                         주도하여 서양식 신식무기 제조기술 등을 도입하고

                         관련 공업을 진흥하여 중국 산업화의 기원을 이룸.

. '청일전쟁(淸日戰爭)': AD 1894~1895년, '청(淸)나라'의 패배.

. '무술(戊戌)개혁': AD 1898년, '강유위(康有爲)', '양계초(梁啓超)' 등이

                         입헌군주제 추진 등을 시도하나 '서태후(西太后)',

                         '이홍장' 등 기존세력의 반발로 실패함.

. '북청사변': AD1899년에 일어난 '의화단(義和團)'과 열강8국의 연합군이

                 AD 1900년 베이징(北京)에서 격돌한 사건으로 '청(淸)나라'는

                 AD 1901년 '베이징의정서'를 체결하고 '청조(淸朝)'는 쇠퇴함

. '러일전쟁: AD 1904~1905년'에서 승리한 일본은 '남만주(南滿州)'

                지역에 대한 지배권을 확고히 하게 됨. 

. '신해(辛亥)혁명: AD 1919년  

 

◆ 현대(現代)의 중국...

19. 중화민국(中華民國): AD 1911~1949년 

. 북양정부 / 국민정부

20. 중화인민공화국(中華人民共和國): AD 1949.10.1~현재

* 중화민국(中華民國)/Taiwan(台灣): AD 1945~현재 

blog.daum.net/chunhao  만년설/영겁의 약속...

 

'황제(黃帝)와 염제(炎帝)'의 거대한 석상(石像)...

'허난(河南)성 정저우(鄭州)'의 '황하(黃河) 유람구'에 있음...

 

뤄양(洛陽)시에 있는 '주(周)나라 천자(天子) 육가상(六駕像)'...

뤄양(洛陽)시에서 발굴된 '말화석(馬化石)'...

2005.12.20 만리장성에 올라...

시안(西安)의 '진시황(秦始皇) 병마용(兵馬俑)'...

쓰촨(四川)성 멘양(綿陽)시 부락산(富樂山)공원의

'촉한사영(蜀漢四英)'과 '오호상장(五虎上將)'상...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시에 있는 '무후사(武侯祠)의 삼의묘(三義廟)'...

시안(西安)시의 '화청궁(華淸宮)'에 있는 '양귀비(楊貴妃)'상...

쓰촨(四川)성 광위안(廣元)시 '황택사(皇澤寺)'에 있는

'측천무후(則天武后)/무측천(武則天)'과 '당고종(唐高宗)황제'상...

명판관 '포청천'으로 유명한 카이펑(開封)시의 '개봉부(開封府)' 정문...

카이펑(開封)시의 '청명상하원(淸明上河園)'...

쓰촨(四川)성 광위안(廣元)시 '지에먼관(劍門關)'...

 

'시안(西安)' 중심에 있는 '명대(明代) 성벽(城壁)' 위...

  blog.daum.net/chunhao  만년설/영겁의 약속...

 

출처 : 萬年雪/영겁의 약속...
글쓴이 : 바람처럼 가자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