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스크랩] 하늘이 내린 재상, 서애 유성룡의 옥연정사(玉淵精舍)

餘香堂 2015. 3. 6. 20:51

 

 

                  하늘이 내린 재상, 서애 유성룡의 옥연정사(玉淵精舍)

 

 

 

               T.V의 위력은 대단하다.

            KBS2 T.V의 '인간극장'에서 방영된, 고택을 가꾸는 한 가족의 정성어린 손길이 강한 기억으로

            남아 있다며 아내가 함께 가보기를 원했던 곳.

 

            하늘이 내린 재상, 서애 유성룡의 옥연정사(玉淵精舍)를 찾은 때는 벌써 두 달이 훌쩍 지난 5월

            초순이었다.

           

             

 

               옥연정사로 들어가는 흙길은 방금 비질을 마친듯, 곱게 분칠을 한 여인의 얼굴처럼 희고 곱다. 

            그 길을 가꾸는 고운 손길들이 눈에 띈다. 

            뉘라서 저리할 것인가...길가의 이름모를 들꽃 하나에도 정성스럽게 물을 주는 저들이 고택을

            관리하는 분들임에 틀림없어 보였다.

           

            하회마을에서도 강 하나를 건너 고즈넉이 산 아래 자리를 잡은 서애 류성용 선생의 고택

            옥연정사(玉淵精舍).

            4백여 년의 긴 세월 동안 한동안 잊혀졌던 외로운 고택에 최근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영화의 배경으로도 등장했던 아름다운 고택을 보기위해 국내는 물론 일본에서까지 관광객들의

            발길이 이어진다고 한다.

            


 

             

              길손을 위해 굳게 닫힌 빗장을 풀고 고택에 사람 사는 온기를 푸근히 불어넣는 이들이 있었으니

           그들이 바로 고택지기 김상철(43)씨 가족이다.


           집안 곳곳을 청소하고 장작패기와 아궁이에 군불 떼기 등등 고택지기 김상철 씨는 아침부터

           바쁘다. 게다가 얼마 전부터 '고택체험프로그램'을 시작하며 전통문화 전도사의 역할까지 톡톡히

           하고 있다.


           사실 그는 한 때 대통령 표창까지 받을 만큼 성공한 농업인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사기를 당하면서 하루아침에 빚더미에 오르게 되었고 땅마저 하나 둘 경매로 넘어가고

           말았는데 3년 전, 안동에 분재원을 내며 옥연정사와 인연이 시작되었다.


           살 곳을 찾다가 고택 관리인 자리 이야기를 듣게 된 것이다.

           고택에서 살 뿐 아니라 관리를 하며 수입도 생긴다니 일석이조. '나라 구할 책을 쓴 이 집이 이제

           우리 가족을 살리겠구나'라는 김상철 씨는 고택에 가족의 꿈과 희망을 모두 걸었다.


           그와 더불어, 고택에 머무는 숙박객에게 푸짐하고 건강한 시골밥상을 차려내는 옥연정사의

           살림꾼인 아내 김정희(43)씨와 용감한 남매, 나현이와 령이의 행복한 생활공간이자 삶의 터다.

                                                                                                                     (KBS설명 참조)


             

             

             

           대한민국 중요민속자료 88호. 국보 제132호 징비록(懲毖錄)의 산실인 옥연정사(玉淵精舍)는

           서애 유성룡이 거처하던 가옥이다.

           옥연정사(玉淵精舍)는 대가족의 살림과 사당이 있는 종택(宗宅)과는 다른 유성룡만의 학문연구

           와 지인들과 교류를 위한 독립 공간이다.

 

           유성룡이 노후를 정한히 지내면서 학문을 닦기 위해 세우고자 하였으나 재력이 없어 뜻을 이루지

           못 하였는데,  誕弘(탄홍)스님이 자청하여 10년동안 시주를 거두어 선조 19년(1586)에 완성했다

           고 하며 처음에는 옥연서당이라 하였다.

 

           옥연(玉淵)이란 정사 바로 아래에 "깊은 소(深潭)의 빛깔이 정결 스럽기가 玉과 같다"는 뜻으로

           유성룡이 직접 이름을 지었다. 옥의 깨끗함과 소의 맑음이 곧 군자의 도를 귀하게 여긴 그의 뜻을

           나타내고 있다.

           임진왜란 후 향리로 돌아와 이곳에서 임진왜란의 회고록인 징비록을 구상 저술하였다.


           옥연정사(玉淵精舍)는 임진왜란을 어렵게 치룬 그의 삶과 모습, 생각과 인생, 분위기가 배어 있는

           곳이다. 유성룡은 옥연정사를 마련한 다음 이 집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옥연서당기"로 남겼다.

              다음은 옥연서당기의 말미 부분이다.

 

           解綬南歸(해수남귀) 벼슬을 그만 두고 돌아 올 수 있었으니,

           軒曼地榮 過耳(헌만지영 과이) 정말 벼슬 따위와 같은 영화란 지난 일일뿐이었다.

           鳥音而日丘一壑(조음이일구일학) 새 소리 들리는 언덕과 골짜기의 

           樂意方深(락의방심) 즐거움이 깊어 가는 이 때에, 

           是時, 而吾堂適成(시시, 이오당적성) 마침, 나의 집이 완성되었다.

           將杜門却掃, 潛深伏奧(장두문각소, 잠심복오) 문을 닫고 찾아오는 이도 사양한 채, 

           ?仰乎一悉之內(면앙호일실지내) 방안에 깊이 들어 박혀 지내며, 

           放浪乎山谿之間(방랑호산계지간)  산과 계곡을 이리저리 거닐기도 하며, 

           圖書足以供玩索之樂(도서족이공완삭지락) 때론 서적들로 취미를 붙여, 그 의미를 궁구하기도 하고, 

           疏?, 足以忘芻?之美(소려, 족이망추환지미) 성긴 밥이나, 맛있는 음식의 기름짐을 잊기에 족하니, 

           佳辰美景(가진미경) 좋은 때 아름다운 경치에, 

           精朋偶集(정붕우집) 정겨운 벗들이 우연히 모여들면, 

           則輿之窮回溪(칙여지궁회계) 그들과 굽이진 계곡을 거닐기도 하며,

           坐巖石(좌암석) 바위에 앉아 

           望靑天(망청천) 푸른 하늘을 바라보며, 

           歌白雲(가백운) 흰 구름을 읊기도 하면서,

           蕩押魚鳥(탕압어조) 물고기 새들과 함께 어울려 호탕히 지내노라면,

           皆足以自樂而忘憂(개족이자락이망우) 이 모든 것이 마음을 즐겁게 하여 근심을 잊는다. 

           嗚呼 斯亦人生適意之大者(오호 사역인생적의지대자) 아! 이것 또한 “인생이 스스로의 뜻에 맞는

           큰 것인 즉. 外慕何爲(외모하위) 밖으로 달리 그 무엇을 그리워할 것인가?

           懼斯言之不固(구사언지불고) 내 이 말을 굳게 지키지 못할까 두려워 한 나머지,

           聊書壁而自警(요서벽이자경) 벽에다가 글로써 붙여 놓고 스스로 경계하고 삼가하고져 하노라.

           
           임진왜란과, 권위적인 왕조, 권력싸움에서 심한 시달림을 겪은 한 학자의 초연한 모습이 진하게

           느껴지는 글이다.

 

 

                                     옥연서당과 감록헌의 광풍제월(光風霽月) 편액

 

서당채 정면의 마루를 감록헌(瞰綠軒)이라 부른다.
왕희지의 "우러러 푸른 하늘을 바라보며 아래로는 푸른 물 구비 바라보네" 仰眺碧天際,俯瞰綠水(앙조벽천제부

감록수)'라는 시어에서 따온 것이다.

 

감록헌 마루를 가운데에 두고 좌우 방 2칸의 이름을 세심재(洗心齋)라 지었으니, 주역의 계사(繫辭)편 중 “여기

에 마음을 두어 만에 하나라도 이루기를 바란다.意或從事於斯 以庶幾萬一爾(의혹종사어사 이서기만일이)"라는

뜻을 담고 있으며, 유성룡이 서당으로 쓴 곳이다.


또 북쪽집 3칸은, 이 집을 지키는 스님을 위해 선가의 말을 따서, 완적재(玩寂齋)라 하였다.
동향 집 2칸은, 친구의 내방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원락재(遠樂齋)라 하였는데,
이 명칭은 논어(論語)중의 이른바 "먼곳으로 부터 벗이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有朋이 自遠方來하니 不亦樂乎라"는 글에서 따온 것이다.


재의 서쪽으로 낸 조그마한 마루 2칸은 세심재와 이웃하고 있기에, 애오헌(愛吾軒)이라 하였다.
이 명칭은 도연명(陶淵明)의 시에' 오역애오려'(吾亦愛吾廬), '나 또한 내 오두막집을 사랑하노라'한 시어에서

온 것이다. 이 모두를 합하여 편액하기를 옥연서당(玉淵書堂)이라 하였다.

 

                                                                                       (옥연정사 홈페이지 참조:http://www.hahoehouse.co.kr/ )

 

 

 

        이곳 원락재에서 1604년에 류성룡은 임진왜란에 대한 전후사정을 기록한 회고록, 국보 제132호인

        懲琵錄(징비록)을 썼다.지난 일을 회고반성하여 후일 뒷근심을 없앤다는 의미로 책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정사의 앞마당에는 세월의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소나무 한 그루가 담장밖에 펼쳐진 넓은 백사장과 푸른

        숲, 그 사이를 흐르는 맑은 강물을 바라보며 고고히 서 있다.  

        이 소나무는 1604년, 유성룡이 63세 때 북쪽 산기슭에서 옮겨 심은 삼 사십 그루의 소나무 중 한 그루다.

 

        유성룡은 이 소나무들을 심고 그 소회를 종송(種松)이란 시로 남겼는데, 그 자신이 어린 소나무를 심으면

        서도 그늘을 드리울 정도로 자랐을 때를 보지 못할 것임을 이야기한다.

        유성룡은 이 소나무를 심은 3년 후에 세상을 떠났다.

 

 

 

            

                                                     種松(종송)

                                                                                           - 柳西厓 -

 

               스므아흐렛날 자제들과 중(僧) 몇명을 시켜서 능파대 서쪽에 소나무 삼 사십 그루를 심었다.

               내 일찍이 白樂天의"소나무를 심고"란 詩를 읽은 적이 있는데 그 詩에 이르기를

              "어찌하여 나이 사십이 되어 몇그루 어린 나무를 심는가? 인생 칠십은 예부터 드물다는데

               언제 나무가 자라서 그늘을 볼 것인가?" 하였다.

               올해 내 나이 예순셋인데 새삼 나무를 심었으니 내가 생각해도 웃음이 절로 나온다.

               이에 떠오르는 감상을 재미삼아 몇구절 詩로 써서 옮겨본다.

 

                                 탁土北山下(탁토북산하) 북쪽 산기슭에서 흙을 파 옮겨,

                                 種松西巖角(종송서암각) 서쪽바위 모퉁이에 소나무를 심었네,

                                 土覆不盈궤(토복불영궤) 파낸 흙은 삼태기에 차지도 않고,

                                 松短不盈尺(송단불영척) 짧은 소나무는 한자도 되질않네,

                                 離披亂石間(이피란석간) 몸 헌들어 돌 틈에서 옮겨왔으니,

                                 各帶傷根色(각대상근색) 마디 마디 뿌리가 상해버렸네,

                                 得地縱석塏(득지종석개) 땅은 높아서 시원하여도,

                                 滋身少潤澤(자신소윤택) 자라기엔 물이 적을듯하네,

                                 遲遲雨露濡(지지우로유) 비와 이슬 젖기엔 늦은듯하고,

                                 颯颯風霜急(삽삽풍상급) 서리 바람 맞기엔 이르겠구나,

                                 老夫强好事(노부강호사) 늙은이 일이 좋아 억지부려 심었으니,

                                 傍人笑基拙(방인소기졸) 보는 이는 속으로 어리석다 웃을테지!

                                 如何老大年(여하노대년) 어찌하여 늙은이가 나이 들어서,

                                 養此難成物(양차난성물) 자라기 어려운 소나무를 심었을까?

                                 陰成固不望(음성고불망) 내 비록 그늘 보기는 바라지도 않지만,

                                 封植知誰力(봉식지수력) 뉘라도 힘들여 심은 뜻은 알겠지,

                                 昻蕭會千載(앙소회천재) 천년지나 하늘높이 자란 후에는,

                                 留與鸞鳳宿(유여란봉숙) 봉황이 쉬어가는 보금자리 되리라!

 

                 옥연정사 앞마당에 있는 400년 된 소나무가 종송이다.

                 아직, 심은 지 1,000년이 되지 않았으나 유성룡의 말대로 1,000년이 된 어느날, 하늘높이 자란

                 이 소나무에 봉황이 둥지를 틀지는 아직 모를 일이다.

                 생전의 그가 바라지도 않았던 소나무 그늘은, 오늘날 그 자신이 후손들에게 훌륭한 귀감이 되어 

                 세상에서 가장 큰 그늘을 드리우고 있다.

 

             

 

                                   종송에서 바라본 정사 담장 너머의 풍경

 

     玉淵精舍(옥연정사)를 방문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회마을에서는 선착장에서 배를 타고 들어갈 수 있다. 나룻배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른 한 방법은 하회마을로 들어가지 말고 풍천면 사무소 맞은 편으로 난 도로를 이용하여 들어갈 수 있다.
     광덕교를 지나 좌회전하여 약500m 정도 가면 화천서원과 주차장이 있다.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약100m를 걸어서 들어간다.

 

 

 

              

                                                                            간죽문(看竹門))

 

               옥연정사에서 부용대편 강쪽으로 내려가는 조그마한 대문이 간죽문(看竹門))이다.

              이름대로라면 대나무숲을 바라보는 문이다. 유성룡은 이를 두고 다음 시를 남겼다.



                                    노옹파오수 (老翁罷午睡)   노옹이 낮잠에서 막 깨어나,
                                    부수행곡정 (負手行曲庭)   뒷짐 지고 뜨락을 거닐도다,
                                    행처의이란 (行處意易蘭)   거닐다가 기분이 더욱 상쾌해 지면,
                                    출문간수죽 (出門看修竹)   문을 나서 대 숲을 바라보네,
                                    적여강풍회 (適與江風會)   강 바람 이라도 불어 나부끼면,
                                    청음산빙옥 (淸音散氷玉)   옥이 부숴지는 해맑은 소리,
                                    시유고문인 (時有叩門人)   더러 날 찾는 이 있는데,
                                    망형수주객 (忘形誰主客)   누가 주인이고 나그넨지 몰라라 

 

 

 

                                                  행복한 산책길

 

간죽문을 나서면 남쪽으로 난 머지않은 오솔길 끝에 삼인석(三人石)이라는 바위가 있다.

이곳은 400여 년 전, 서애 유성룡, 약포 정탁, 소재 노수신 등 영의정을 지냈던 세 사람이 만나서 바둑도 뜨고

약주도 들며 시문도 지은 곳이라 한다.

노송이 드리워준 그늘 밑 오솔길을 걷는 발 밑 감촉이 부드럽다. 그 길끝에 서면 우리나라 전통마을의 대명사인

안동 하회마을이 강건너에 자리하고 있다.

 

 

 

          

                                                                강 건너 하회마을

 

            물돌이 마을인 하회는 동쪽으로 태백산의 자락인 화산(해발 321m)이 감싸고 있으며, 낙동강이

            마을 전체를 껴안고 흐른다. 이곳은 산태극수태극(山太極水太極)의 길지로 임진왜란 때도

            전화(戰禍)를 입지 않았다고 한다.

 

 

 

             

                                                                    삼인석에서 바라본 옥연정사

 

          玉淵精舍(옥연정사)는 1576(선조9년) 집 짓기를 시작한지 10년만인 1586년 완공되었다. 
            유성룡의 나이 45세 때이다. 집을 완공한 4년 뒤 임진왜란이 일어났다. 
            집 지을 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을 때 탄홍(誕弘) 스님이 그 뜻을 알고 건축을 맡고 재력을

            부담하겠다고 자원하여 완공되었다.  
            1605년(선조38년) 낙동강 대홍수로 하회마을의 살림집을 잃고 이곳에 은거하며 임진왜란을

            회고하여 징비록을 저술하였다.

 

 

             

                                                                        겸암정사로 가는 벼랑길

 

            정사 뒤로는 하회마을을 한눈에 굽어볼 수 있는 부용대(芙蓉臺·높이 64m)가 우뚝 서 있다.

            그 아래로 심약한 사람은 걷기도 힘든 아슬한 벼랑길이 서쪽으로 나있다. 

               성룡의 형인 겸암(謙菴) 유운용이 학문연구와 제자양성을 목적으로 지은 겸암정사로 가는 길

            이다.

 

            우애가 남달랐던 형제는 부용대 절벽 사이로 난 이 오솔길을 따라 틈틈이 서로 오갔던 모양이다.

            아슬아슬한 절벽길을 긴장감에 걸으며 흐트러진 마음을 곧추 세우고자함은 아니었을까?

 

            옥연정사 간죽문을 나선 유성룡은 오솔길을 따라가며  바위에도 이름을 붙였다.

            달관대, 능파대, 운송대, 계선암, 추월담 등의 이름을 붙이고 그 이름을 새겼다.

 

 

  

             

           괜찮으니 걱정말고 따르라 하고 앞서 가는데, 20여 m를 따라오던 아내는 오금이 떨려 더 이상

           못가겠다며  황급히 돌아선다. 그 모습이 마치 꽁지 빠진 닭같다.

           더 이상 가지말고 빨리 돌아 나오라고 발을 동동구르며 내게 소리를 지르는데, 세상에 믿을 놈

           없다는 표정이다...

 

             

  

                                             부용대에서 바라본 하회마을

 

   위험한 벼랑길을 돌아나와 간죽문 옆으로 난 산길을 따라 부용대에 올랐다.

  세월의 흐름이 멎은 듯한 하회마을 앞은 넓은 백사장이 비단을 깔아 놓은 것 같고, 오른쪽으로 보이는 울창한

  송림은 서애 유성룡의 형인 유운룡(1539~1601)이 조성한 일명 만송정(萬松亭)이다. 

 

  하회마을은 홍수의 피해가 잦았던 곳이다. 강바닥이 높은 천정천(天井川)이며 물길이 뱀처럼 구불거린다 하여

  사행천(蛇行川)이라고도 하는 낙동강이 마을 앞을 흐르기 때문이다.

 

  만송정은 강둑을 보호하여 이러한 수해로부터 마을을 보호하고, 세찬 북서풍을 막아주는 방풍기능과 바람에

  실려오는 모래를 막아주어 생활의 불편을 덜어주는 한편, 주민들의 휴식·문화 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는

  곳으로 천연기념물 제473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강물과 백사장, 부용대 절벽 등이 어우러져 경관적으로도 가치가 높다

  이 숲은 물이 빠져나가는 것을 볼 수 없게 함으로 명당으로서 기능을 유지하게 하는 비보(裨補)역할을 한다고

  한다.

 

  한편, 이곳 부용대 정상과 건너편 만송정 솔숲을 잇는 동앗줄을 이용하는 선유(船游)줄불놀이가 매년 음력 7월

  16일 밤에 주변 강물 위에서 펼쳐진다. 200여m 강건너 만송정까지 긴 동앗줄 5가닥을 내걸고, 만송정에서

  놀이패들이 동앗줄에 연결된 보조로프에다 쑥 심지에 불을 붙인 길이 45cm 정도의 숯봉지를 1m 간격으로

  달아 맨뒤 부용대 쪽에서 불붙은 숯봉지가 달린 로프를 끌어올리는 놀이이다.

 

  1천200개의 불붙은 숯봉지가 '따닥 따닥' 소리를 내면서 별가루같은 불티를 강바닥에 뿌리며 만송정과

  부용대를 잇는 낙동강을 뒤덮으며 장관을 이룬다.

  450여 년의 역사를 가진 선유줄불놀이는 불빛과 절벽, 강물, 솔숲, 백사장이 한데 어우러지면서 장관을 연출,

  하회마을의 대표적 전승놀이로 자리잡고 있다.

 

 

 

                                                                        하회마을의 중심부

 

사진 중앙부의 오른쪽 끝부분이 하회마을 원지정사(遠志精舍)다.

원지정사는 조선 선조 6년(1573) 서애 유성룡이 옥당(玉堂) 홍문관(弘文館) 재직 중 부친상을 당하자 고향에

내려와 지내면서 세운 정사이다.

그 오른쪽 옆에 하회마을의 유일한 2층 누각인 연좌루(燕坐樓)가 보인다.

추녀끝의 곡선이 제비의 자태를 연상할 수 있다하여 팔작지붕의 형상과 더불어 붙여진 이름이다.

 

 

                                                  화천서원(花川書院)

 

 

부용대를 내려와 처음 들어온 길로 접어들면 화천서원(花川書院)이 있다.

화천(花川)은 이곳과 하회마을 사이를 흐르는 낙동강 줄기의 이름이다.

도로변에서 위치한 순서로 치자면 옥연정사보다 이곳을 먼저 답사하는 것이 순서이기도 하다.

 

옥연정사 북쪽 근접한 곳에 위치한 화천서원은 조선중기 퇴계학문(退溪學門)에서 수학한 겸암(謙菴)

유운룡(柳雲龍)선생의 학덕을 기리고자 유림(儒林)이 뜻을 모아 서원을 건립하여 묘우(廟宇=祠堂)

를 짓고 선생의 위패를 봉안하여 100여년 이상 춘추로 향사를 지내오다가, 1868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

서원의 훼철을 아쉬워하던 후손들은 기금을 모아 건물을 짓고 공론을 모아 1996년에 복설고유(復設告由: 다시

세우게된 사유를 고하는 의식)하였다.

 

서원의 규모는 사당(祠堂) 6칸, 삼문(三門) 3칸, 강당(講堂) 15칸, 동서재(東西齋) 각 4칸반, 문루(門樓) 10칸,

전사청(典祀廳) 3칸 외에 주소(廚所) 8칸, 원문(院門) 1동으로써 총칭 화천서원(花川書院)이라 한다.

 

사당은 경덕사(景德祠), 강당은 숭교당(崇敎堂)이라 하고 좌우로 방이 있는데, 좌는 주경재(主敬齋),

우는 사성재(思誠齋)이고, 동재는 전학(典學), 서재는 존현(尊賢),문루는 지산(地山), 원문(院門)은 유도(由道)

했다.

 

강당과 주소는 옛날부터 있었고 문루는 지난 1864년에 다시 지었으며 사당과 동서재, 삼문, 전사청, 원문은

1996년 복설때 증설하였다.

 

                                              배향공간인 사당(祠堂), 경덕사(景德祠)

 

  

                                     화천서원의 문루(門樓),  지산루(地山樓)

 

이름난 몇 곳을 제외하고는 서원의 문은 굳게 닫혀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붉은 칠을 한 닫힌 문 주위의 담장을 돌며 까치발로 안을 기웃거리다보면 서글픔마저 들 때도 있다.

사람의 따뜻한 온기를 느끼지 못하는 건물은 아무리 그 외장을 화려하게 치장하고 값비싼 자재를 썼더라도 

그저 눈에 보이는 것 이상의 감흥을 얻기란 어렵다. 찾아온 걸음이 아깝게 여겨지면, 가지고 있는 얕은 지식을

억지로라도 동원하여 내 스스로가 분석하고 각색한 시나리오에 빠져드는 수 밖에 없다.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고 경계하는 것은 관리상 어려움이 그 이유의 태반일 것이다.

지정문화재로 등록되면 유지보수를 위한 예산이 집행되어 경제적인 보탬은 되겠지만,사소한 수리 하나라도

행정절차를 거쳐야하는 번거로움과 짜증나는 일이 만만치 않기 때문일 것이다. 

  

그런 점에서 화천서원의 개방은 오히려 "개혁"이란 표현이 맞다.

 

 

                                           

                                  지산루(地山樓)에서 바라본 하회마을 방향.

 

서원이란 딱딱한 인상을 주는 공간에서 우리 문화를 즐기는 곳으로 탈바꿈하여 과감히 객을 받아들였다.

옥연정사가 그러하듯이 사람의 온기를 불어넣기 위하여 고택체험은 물론 전통민속놀이와 음식을 장만하여

손님을 맞이하는 적극성을 보였다. 우리가 이곳을 찾았을 때 지산루 2층누각에는 한 가족이 둘러앉아 부침개며

동동주를 들고 있는 화기애애한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이곳이 서원이란 공간이기 때문에 더욱 그랬을 것이다.

 

여러가지 말못할 사정은 있겠지만, 빗장을 걸어잠궈 까치발로 겉만 쳐다보고 돌아서게하는 서원보다는 훨씬

인간미가 녹아든 편안한 공간이라 생각되는 것이다.결국 서원이란 곳도 인간의 생활공간이기 때문이다.

 

 

                                                           강학공간, 숭교당(崇敎堂)

 

숭교당 마당에는 이곳을 관리하시는 분의 안내에 따라 민속놀이를 하는 가족이 보인다.

그리고 그 아래 지산루를 오르는 계단밑에는 너댓살된 한 여자아이가 눈에 띄었다.

흩어진 신발을 하나씩 옮겨가며 가지런히 정리하고있는 아이를 보는 순간 부끄러워지는 나 자신을 느꼈다.

 

나는 이 나이가 되도록 남의 허물을 얼마나 감싸주었으며 남을 위해 얼마나 노력해 보았는가.

공자가 어떻고 부처의 말씀이 어떻고 자비와 사랑이 어떻다는 입에 발린 얕은 지식의 소리로 그럴싸한 겉포장을

하고 있지 않았던가...

 

저 아이는 부모로부터 틈틈이 공공예절과 질서에 관한 교육을 받았을 것이다. 

저런 것이 참교육의 결과다. 선을 실행할 줄 알게하는 교육이다.

내 자식의 일처럼 알고 절실한 마음으로 가르치는 것이 참교육이다.

편향된 이데올로기를 심어주며  자기들만의 이해타산에 맞는 교육에 어찌 "참"이란 말을 갖다 붙인다는 말인가.

생존을 위한 자기 밥벌이를 하는 선생은 많아도 인간을 만들어내는 스승은 적은 현실이다.

 

그날 저 아이가 내 스승이었다...

 

                                                                         

                                                                               
출처 : 쓸쓸히 채워져 있고 따뜻이 비워진 숲
글쓴이 : 들이끼속의 烏竹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