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스크랩] 흑산도/ 홍도 비경

餘香堂 2014. 11. 25. 21:00

 

 

 

 

 

 

 

 

 

 

                                  2012년 10월 초순경 전라남도 신안군 남해안 소재 흑산도와 홍도를 방문하여 직접

                                촬영한 사진과 소감을 올려 봅니다. 필요하신 분은 스크랩 하셔도 됩니다. 단풍들 때

                                갔으면 더 좋았을 걸 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배경 명상음악과 함께 사진과 글을 조

                                용히 감상하소서.

 

                                                                                                                     2012. 10.9. 새벽에  인천서  여강 최재효 拜  

 

 

 

 

 

 

 

 

 

 

 

 

 

 

 

 

                         

                           초행길인 분은 목포연안여객터미날 안에 있는 관광사를 통해 패키지로 상품을 구매하는 게 좋습니다. 1박2일로 흑산도와 홍도

                           상품은 성인이 170,000원, 혼자 갈 경우 20,000원 추가 됩니다.

 

                           식사(식사 3끼, 유람선 입장료, 흑산도 일주 차량비용, 배삯, 숙박료 포함 입니다) 

 

 

 

                         

                         목포에서 고속여객선으로 흑산도는 2시간/ 홍도는 2시간 30분 소요

 

 

 

 

 

 

 

                        

 

 

 

 

 

 

 

 

 

 

 

 

 

                                     손암 정약전 선생 초상화

 

 

 

 

 

 

 

 

 


                                                 山魚譜
                                              - 寄 巽庵 정약전 선생 -

 

 

 

 

 


                                                                                                                                   - 여강 최재효

 

 

 

 

 

                      늘 그렇듯 사람이 사람을 내고
                      때에 따라서 하늘도 사람을 낸다고 하지요
                      누가 감히 상상이나 했을까요
                      뱃사람은 뱃사람으로 잇고
                      먹물은 대대로 먹물로 이어졌다지요


                      임께서 밤낮으로 부엉이 울어대고
                      사철 생선 썩는 한양이 싫어
                      부귀영화 입신양면 다 팽개치고
                      세속을 등진 곳이 하필이면
                      진정 생선 잡는 자산玆山이었을까요


                      이제 그 깊은 뜻을 알 듯도 합니다
                      가문의 족보族譜도 중요하지만
                      어문魚門의 뿌리를 세워
                      물고기 보다 못한 족벌族閥들 얼굴에
                      침을 뱉어보고 싶으셨던 게지요


                      임의 예언豫言이 정확했습니다
                      뱃사람은 지금도 그대로 이어지는데
                      먹물들은 피를 섞어 호적을 세탁하고
                      어설픈 USA 도깨비가 되었습니다
                      오죽하면 어보魚譜를 세우셨을까요

 

 

                                  - 창작일 : 2012.10.4. 13:00
                                                 흑산도에서

 

 

 

 

 

 

 

 

 

                                [주] 1. 奇 - 부칠 기
                                       2. 자산어보 - 조선 순조 14년(1814)에 손암(巽庵)

                                      정약전(丁若銓)이 지은 어류학서(魚類學書). 저자가 흑산도에

                                      귀양 가 있으면서 흑산도 근해에서 채집한 수산물의 이름, 분포,

                                      형태, 습속을 조사하여 기록한 책으로, 모두 3권 1책으로 되어

                                      있다.

                                       3. 자산(玆山) : 정약전 선생은 흑산(黑山) 대신 뜻이 같은

                                          자산을 즐겨 사용하였다. 

 

 

 

 

 

 

 

 

 

 

 

                           흑산도 토속 농기구

 

 

                       

                           흑산도 번화가

 

 

 

 

                          이미자의 흑산도 아가씨 노래비

 

 

 

 

 

 

 

 

 

 

 

 

 

 

                                                  흑산도 아가씨

 

 

 

 

 

                                                                                                                              - 여강 최재효

 

 


                         그녀는 십팔세 처녀였다
                         주민등록증이 고희가 넘었다고
                         강변强辯하는 그녀는
                         여전히 뭍을 동경하는 18세 섬처녀 였다


                         얼굴 하얀 육지 사내
                         먼 하늘 바라보다 검게 탄 섬 아가씨
                         둘다 족히 세상을 살만큼 살았고
                         함께 이미자를 따라 목청을 높였다


                         얼마나 많은 인연을 떠나보내고
                         뒤돌아 서서 눈물을 흘렸을까
                         아가씨는 담배를 물고
                         습관처럼 들어오는 배를 바라본다


                         타관의 낯선 사내가 흥얼거리자
                         칠순의 아가씨는 슬며시
                         거울을 들여다 본다
                         흑산도 아가씨는 멈춘 십팔세 였다

  

                          - 창작일 : 2012.10.4. 12:00
                                                     흑산도에서 
 

 

 

 

 

 

 

 

 

 

 

 

 

 

 

 

 

 

                      

                           흑산도 상라산 정상에서 본 흑산도 풍경

 

 

 

 

 

 

 

 

                          흑산도 서북쪽에 있는 장도(長島) - 좌측이 대장도, 우측이 소장도

 

 

 

 

 

 

 

 

 

 

 

 

 

 

 

 

 

 

 

 

 

 

 

 

 

 

                           흑산도에는 홍도와 달리 버스로 일주관광이 가능하다. 흑산도에 버스 30여대 있다.

 

 

 

 

 

 

 

 

 

 

 

 

 


                                玆山島
                                                          - 흑산도에 서다 -

 

 

 

 


                                                                                                                                 - 여강 최재효

 

 

 

 

 

 

                        바다는 스스로 속내를 보인 적이 없다
                        누구도 바다의 나이를 모른다
                        세월이 쌓이면 무언無言으로 통한다는데
                        검을 현(玄)이 겹쳐지면 어떤 색깔일까


                        물빛이 유난히 맑고 검푸르러
                        수 없이 파도가 밀려와 하얗게 부서지고
                        억만년을 두고 달빛이 쌓여도
                        자산도 물빛은 변색되지 않았다


                        청년의 흑발黑髮은 곧 백수가 되고
                        허리 구부러지고 아이가 되는 법
                        멀리 조정朝廷의 파당派黨을 보며
                        울혈을 인내해야 했을 힘든 귀양살이


                        손암巽庵은 간사한 인심人心이 싫어
                        흑黑자 대신 자玆를 애용하였다지
                        아, 흑산도 이즈음 나는
                        은인자중하는 네 속내를 보고 싶다

 


                                    - 창작일 : 2012.10.4. 14:00
                                                  흑산도에서

 

 

 

 

 

 


 

                                  [주] 손암(巽庵) - 정약전의 호. 다산 정약용의 형으로
                                        경기도 광주 태생. 증광문과에 급제해 전적·병조좌랑 등을
                                        역임. 1801년(순조1년) 신유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섬사람들을 가르치며 자산어보를 짓는 등 저술
                                        활동을 하였다.
 

 


 

 

 

 

 

 

 

 

 

 

 

 

 

 

 

 

                             흑산도 번화가  - 60,70대가 된  흑산도 아가씨가 차려주는 한끼 식사가 뭍에서 온 나그네가슴을 뭉클하게 한다

 

 

 

 

 

 

 

 

 

 

 

 

 

 

 

 

 

 

                          흑산도를 떠나 홍도를 향해

 

 

 

 

 

 

 

 

 

 

 

                           오고가는 사람들로 붐비는 홍도항

 

 

 

 

 

 

 

 

 

 

 

 

 

 

 

                                               홍도 有感

 

 

 

 

                                                                                                                                - 여강 최재효

 

 

 

 

                         지난 하세월 푸른 하늘에
                         분란紛亂한 발자국 찍고
                         황토에 희미하고 엷으면서
                         허접한 이력을 자랑스레 적어놓았지


                         무수한 시간을 어디에 허비하고
                         뒤늦게 염치도 없이 용왕을 찾았는가
                         하늘과 바다 사이에 경계가 없고
                         사람과 섬, 구분이 모호하네


                         세속을 뒤로하고 앉아서 고개를 들면
                         석양 노을이 되고
                         심해에 은밀히 시선을 두면
                         파도가 되어 유영遊泳할 수 있네


                         내 저 파도가 독송하는 밀경密經 소리를
                         싱싱한 채로 가슴에 꼭꼭 담아
                         남몰래 한세월 기르다가
                         천상天上에 오르거든 풀어 놓으리

 

 

 

                                      - 창작일 : 2012.10.3. 17:00
                                                    신안군 홍도에서
 

 

 

 

 

 

 

 

 

                                      

 

 

 

 

 

 

 

 

 

                          타관에서 온 나그네 밤잠을 설치게 하는 홍도의 달밤

 

 

 

 

 

 

 

 

 

 


                                                   홍도의 氷人

 

 

 


                                                                                                                           - 여강 최재효

 

 

 

 

                         타관 나그네 한잔 술에 잠을 청하네
                         잠결에 달그락 거리는 소리
                         권주가勸酒歌 부르는 소리
                         나는 어깨춤을 추었


                         홍도紅桃빛 고운 뺨
                         뇌쇄적인 살 냄새
                         도끼자루 썩어도 모를 유하주流霞酒
                         하얀 쪽배는 은하수를 건넜다네


                         대낮보다 더 환한 월야月夜
                         양파껍질처럼 벗겨지는 초야初夜
                         노인이 어찌 내 속사정을 알았을까
                         파도 소리에 놀라 눈을 뜨네


                         반쯤 먹다 남은 비릿한 생선
                         처참하게 뒹구는 빈 병
                         휑한 방에 쌓인 하얀 달빛 한짐
                         그 옆에 서러운 눈물 한섬

 

                         - 창작일 : 2012.10.4. 05:00
                                                   전남 신안군 홍도에서

 

 

 

 

 

 

                                     [주] 1.유하주 - 신선이 마시는 술
                                           2.빙인氷人 - 월하빙인月下氷人 준말
                                              남녀의 인연을 맺어주는 전설상의
                                              노인

 

 

 

 

 

 

 

 

 

 

 

 

 

 

 

 

                           홍도의 주전자 바위

 

 

 

 

 

 

 

 

 

 

 

 

 

 

 

 

 

 

 

 

 

 

 

 

 

 

 

 

 

 

 

                         파도의 노래

 

 

 

 

                                                                                                                               - 여강 최재효

 

 

 

 

 

                          불혹을 넘어 눈물이 왜 짠지
                          파도의 노래가 어째서 슬픈지
                          어렴풋하게 알 수 있을 것 같아
                          바다에 발을 담그고 밤을 지새우네


                          지금까지 아무생각 없이 먹어버린
                          소금이 얼마나 될까
                          파도의 고통을 알기나 했을까
                          뒤 늦은 회개悔改에 눈물이 나네


                          어머니는 자식을 낳고
                          천지신명은 일용할 양식을 주었으며
                          파도는 한시도 쉬지 않고
                          자장가를 부르는 데 왜 몰랐을까


                          어린이가 어른이 되고 노인이 되어
                          되돌아 갈 때 까지 철썩이며
                          바다는 암염巖鹽을 녹이고
                          스스로 소금이 되기도 한다네

 

 

                                        - 창작일 : 2012.10.3. 23:30
                                                      전남 신안군 홍도에서
 

 

 

 

 

 

 

 

 

 

 

 

                                  홍도의 야경

 

 

 

 

 

 

 

 

 

 

 

 

 

 

                          홍도항  야경

 

 

 

 

 

 

 

 

 

 

 

 

 

 

 

                           다시  집으로

 

 

 

 

 

 

 

 

 

 

 

 

홍도의  일출

 

 

 

 

 

 

 

 

 

 

 

 

 

 

 

 

 

 

 

출처 : 사랑방
글쓴이 : 여강 최재효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