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字는 처음엔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그러나 생활의 영역이 확대되고,
인류의 문화 가 발달함에 따라
수많은 사물과 다양한 생각을 나타내기 위한 수의 글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한자의 수가 오늘날처럼 많이 늘어나게 되었는 데,
한자의 짜임을
그 원리와 응용 방 법에 따라 크게 6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상형(象形) : 눈에 보이는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 떠서 글자를 만드는 방법
예] 日, 月, 山, 川, 水, 木, 人, 目, 馬, 鳥, 魚, 弓, 門 등.
(2) 지사(指事) :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사물의 뜻을
구체적인 부호나 도형으로써 대신 나타내어 그 뜻을 가리키게 함으로써 글자를 만드는 방법.
예] 一, 二, 三, 五, 十, 上, 下, 本, 中, 天 등
(3) 회의(會意) : 상형과 지사의 방법으로 이미 만들어진 두 글자 이상을 결합하되,
그 글자의 뜻을 모아 처음 두 글자와는 다른 새로운 뜻을 가진 글자를 만드는 방법
예] 日(해 일) + 月(달 월) → 明(밝을 명)
林, 姦, 品, 好, 明, 位, 東
(4) 형성(形聲) : 이미 상형이나 지사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두 글자 이상을 결합하여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한 자는 뜻을, 다른 한 자는 소리(음)를 나타내도록 만들어
처음 두 글자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뜻의 글자를 만드는 방법
(한자의 짜임 중 가장 널리 쓰 이는 것으로, 한자의 82%이상이 형성자이다)
예] 水{물 수 : 뜻 부분} + 羊(양 양 : 음 부분} → 洋(큰 바다 양)
花, 河, 志, 問, 聞, 功, 防, 淸, 廳, 請, 聽, 晴 등
(5) 전주(轉注) : 이미 있는 한자의 뜻을 더 늘린 방법으로,
곧 한자의 본디 뜻을 바탕으로 하여 변화시키고 끌어대어
본래의 뜻과 관계 있는 뜻으로 바꾸어 쓰는 방법.
예] 樂(풍류 악) - 音樂(음악) ,
(즐거울 락) - 娛樂(오락), (좋아할 요) - 樂山(요산)
惡(악 : 악하다) → (오 : 미워하다),
度(도 : 법도) → (탁 : 헤아리다)
(6) 가차(假借) : 어떤 사물을 글자로 나타낼 때,
그와 관계가 없는 뜻의 글자라 하더라도
소리가 같으면 빌려 쓰는 방법.
예] 丁丁(정정) : 나무 찍는 소리,
巴利(파리) : 프랑스,
堂堂(당당) : 버젓하고 정대한 모양.
佛陀(불타) : Buddha (부다)
'학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부수의 변형과 구실 (0) | 2014.12.18 |
---|---|
[스크랩] 部首(부수)의 위치별 명칭 (0) | 2014.12.18 |
한문의 짜임 (0) | 2014.12.14 |
한자어는 어떻게 짜여졌나? (0) | 2014.12.12 |
[스크랩] 글자를 만든 원리 (0) | 201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