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정자각 정리 (韓國의 亭子) 韓國의 亭子 가남정(伽南亭)- 경남 합천군 야로면 하림리.조선명종(재위 1545∼1567) 때 생존했던 문암 정인기·금월헌 정인함·우천 정인철·낙제 정인지 4형제를 위하여 문중에서 지은 정자이다. 정종호. 가산정(可山亭)- 경북 청송군 안덕면 성재리 여흥민씨 가평재(加坪齋)- 전남 장성군.. 누정 문학 2015.05.06
[스크랩] 둥근 연지에 곱게 어린 절벽 위 병암정의 아름다움에 반하다.(2015.4.25) 눈이 시리도록 푸른 들녁의 둥근 연지 중앙에 섬을 만들고 병풍처럼 솟아 오른 절벽 위에 화룡점점처럼 세워진 병암정은 해질녘 저녘 햇살에 연지섬에 곱게 핀 영산홍의 고운 자태와 어우러져 눈이 부시도록 아름답습니다. 19세기 조선시대 말에 세워진 정자와 사당이었던 병암정은 깍아.. 누정 문학 2015.05.04
[스크랩] 구양수의 취옹정기(醉翁亭記) 구양수(1007~1072) '당송팔대가'라는 산문의 달인들이 있었어요당(唐)나라의 한유와 유종원....송(宋)나라의 구양수와, 증공(曾鞏), 왕안석, 소氏 3부자(소순, 소식, 소철)송의 이 6명을 다시 말하면 '구양수선생과 그의 제자들'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구양수선생의 입지는 대단합니다. ... 누정 문학 2015.05.03
[스크랩] 명필 명문 감상-문징명이 쓴 취옹정기 당송팔대가의 한사람인 송나라 <구양수의 취옹정기>를 명 4대 서예가의 한사람인 문징명이 쓴 서첩 출판물을 대만 고궁박물원 서예탐구여행에서 구입했습니다. 2014년 1월 11일부터 1월 15일까지 4박 5일의 대만고궁박물원 서예탐구여행을 다녀왔는데, 고궁박물원에서는 2014년도의 기.. 누정 문학 2015.05.03
[스크랩] 전주 한옥마을을 한눈에, 오목대(梧木臺) 전북 전주시 완산구 교동에 위치한 오목대(梧木臺)는 흙으로 성을 쌓았던 흔적이 남아 있는 언덕으로, 정자 및 비석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전주 한옥마을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오목대는 조선의 태조 이성계(李成桂)가 고려의 3도도순찰사(三道都巡察使)로 있을 당시 군사를 이끌.. 누정 문학 2015.04.30
[스크랩] 영동군 양산팔경중 제2경 1박2일팀이 머물렀던 "강선대" 영동군 양산팔경중 제2경 강선대 (降仙臺) " 강선대 " 는 영동군 양산면 봉곡리 양강(楊江)변에 누대(樓臺)로 양산팔경중 제2경으로서 기암 절벽을 이루고 울창한 노송이 뒤덮여 있다 전설에 의하면 아득한 옛날에 하늘에서 선녀 모녀가 지상을 내려 보다가 강물에 비친 낙락장송과 석대가.. 누정 문학 2015.04.23
[스크랩] 창덕궁 후원 나들이 [부용지&주합루] 창덕궁 후원 제1의 정원 부용지와 주합루 8월의 마즈막날 하늘은 구름이 드리운날 따가운 햇쌀은 없었지만 나름 해설사와 숨가쁜 일정을 소화 하는 시간 이었다. 말로만 듣던 조선 정원의 아름다움을 맞볼수 있었던 소중한 시간을 걸어본다. 비가내린후의 부용지의 물은 진한 황토색으로.. 누정 문학 2015.04.18
[스크랩] 영남 사림의 자부심, 점필재 김종직 영남 사림의 자부심, 점필재 김종직 < 이전전체보기 지역 경상북도 고령군 쌍림면 합가리 시대 현대 집필자 정동락 [개실마을의 정신적 지주 김종직] 개실마을 사람들에게 점필재(&#20308;畢齋) 김종직(金宗直)[1431~1492]은 어떤 존재일까? “우리 후손에게 점필재 할배[할아버지]는 삶의.. 누정 문학 2015.04.16
[스크랩] 옥류천(玉流川) 소요암(逍遙岩)-창덕궁 // 옥류천(玉流川) 소요암(逍遙岩) 창덕궁 옥류천(玉流川)은 후원 북쪽 깊숙한 곳에 흐르는 개울이다. 그리고 소요정(逍遙亭)앞에 흐르는 옥류천에 소요암(逍遙岩) 바위가 있다. 소요(逍遙)란 천천이 걸으면서 한가로운 산책을 하여 마음이 편안함을 의미한다. 1636(인조 14)년 가을에 소요암.. 누정 문학 2015.04.12
[스크랩] 창덕궁 후원(5) – 옥류천 영역(소요암, 태극정, 소요정, 청의정, 농산정, 취한정) 존덕정에서 짧지만 다소 가파른 언덕길을 오르면 삼거리가 나오고 여기서 왼쪽으로 몇 걸음 옮기면 정자가 하나 보인다. 언뜻 보기에 새 정자인 것처럼 보이는데 취규정(聚奎亭)이란 현판을 달고 있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1칸에 홑처마 팔작지붕을 올렸는데 인조 18년(1640)에 세웠다고 .. 누정 문학 2015.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