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분지족(安分之足)의 처세(處世) ☆ ☆★☆ 안분지족(安分之足)의 처세(處世) ☆★☆ 분수를 지키면 욕됨이 없고 마음이 편안해진다. 景行錄云 知足可樂 務貪則憂 경행록운 지족가락 무탐즉우 <경행록>에 이르기를, "만족함을 알면 즐거울 것이요, 탐하기를 힘쓰면 곧 근심이 된다." 知足常足終身不辱 知止常止終身無恥 만족할 줄 알.. 知 * 好 * 樂 2010.10.16
☆ 足不足 ☆ ▩ 自足의 境界, 脫俗의 境地 ▩ 다음에 소개하려는 시는 조선 중기의 유명한 학자 龜峯 宋翼弼의 〈足不足〉이란 작품이다. 모두 40구 280자에 달하는 장편으로 '足'자만을 운자로 사용한, 중국에서도 달리 유례를 찾아 볼 수 없는 특이한 작품이다. 그 형식 뿐 아니라 내용 또한 참으로 삶의 귀감으로 .. 知 * 好 * 樂 2010.10.16
☆ 君子의 安貧樂道 ☆ ☆★☆ 君子의 安貧樂道 ☆★☆ [반소사음수(飯蔬飼飮水)하고 곡굉이침지(曲肱而枕之)라도 낙역재기중(樂亦在其中)이니 불의이부차귀(不義而富且貴)는 어아여부운(於我如浮雲)이니라.] '나물 먹고 물 마시고 팔 베고 누웠으니 즐거움 또한 그 안에 있더라. 의롭지 않은 부귀(富貴)는 나에게는 뜬구름.. 知 * 好 * 樂 2010.10.16
☆ 松竹問答 ☆ ☆★☆ 松竹問答 ☆★☆ -澤堂 李植(1584~1647)- ▶ 松問竹(송문죽) 소나무가 대나무에게 말을 하였다 風雪滿山谷 (풍설만산곡) 눈보라 몰아쳐 산골 가득해도 吾能守强項 (오능수강항) 나는 강직하게 머리 들고서 可折不可曲 (가절불가곡) 부러지면 부러졌지 굽히지 않는다오 ▶ 竹問松(죽문송) 대나무가 .. 知 * 好 * 樂 2010.10.16
[스크랩] 배롱나무의 붉은꽃이 만발한 담양 명옥헌 원림 배롱나무의 붉은꽃이 만발한 담양 명옥헌 원림 2010년 08월 26일 목요일 전남 담양군 고서면 산덕리 513번지 담양에서 꼭 가보아야 할곳...명옥헌 원림 붉은빛 배롱나무 꽃잎이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8월의 명옥헌 원림은 돌아 나오기 싫을 정도로 운치가 있었습니다. 붉은빛의 배롱나무 꽃이 오랫동안 피.. 누정 문학 2010.10.15
[스크랩] 교토여행의 클라이막스! 단풍을 보러가자~ 절대 물러가지 않을 것 같았던 더위도 이제는 자취를 감추고 긴팔옷을 꺼내입어야하는 가을로 어느덧 접어들었습니다. 뉴스에서는 예년보다 단풍이 늦는다고 했다가 벌써 설악산에 단풍이 시작되었다는 말도 들려오는등 금년 단풍은 예상을 할 수 없을 듯 합니다. 단풍이라는게 매년 같아보이긴 하.. 여행 2010.10.15
“不足之足每有餘(부족지족매유여)”와 ‘청복(淸福)’ 不足之足每有餘 足而不足常不足 부족지족매유여 족이부족상부족 “不足之足每有餘 足而不足常不足” “부족지족매유여 족이부족상부족”이란 부족하나 만족하면 늘 여유가 있고, 풍족한데도 만족하지 못하면 항상 부족하다는 뜻으로 조선중기 시인인 송익필의 “족부족(足不足)” 은 모두 40구로 .. 知 * 好 * 樂 2010.10.15
* 진솔한 삶 * 요즘 사람들은 사는 것이 아니라 단지 삶을 흉내내고 있을 뿐이야. 나는 흉내를 내는 데 한평생을 써 버리고 마는 사람들을 숱하게 보아왔지. 흉내나 내면서 하루하루를 허송하다가 더 이상 스스로를 속일 수 없게 되면 사람들은 팔자를 원망하기 시작하지. 그런데 팔자라는 게 도대체 뭔가? 그건 스스.. 나의 이야기 2010.10.14
☆ 아이들의 웃음 ☆ ☆★☆ 아이들의 웃음 ☆★☆ 가장 좋은 교육은 아이들에게 웃음을 가르치는 것이다. - 프리드리히 빌헬름 니체의《니체의 숲으로 가다》중에서 - * 아이들이 점차 웃음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아이들에게 웃음을 가르치는 것은 행복의 씨앗을 미리 뿌리는 것입니다. 성공의 열쇠를 일찌감치 안겨주는 .. 카테고리 없음 2010.10.13
* 그까익 거 * http://kr.blog.yahoo.com/kchyun0110/3192 ☆★☆ 그까익 거 ☆★☆ 그까익 거 뭐 나물 먹고 물 마시고 초근목피로 산들 어떠리 가진 것으로 족하고 마음 편한데 영원히 사는 것도 아닌데 한 평생 산다 한들 한 잎 초로와 같은 걸 카테고리 없음 2010.10.12